코드(chord), 또는 화음은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음이 동시에 울리는 음악적 개념을 의미합니다.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3도 간격으로 쌓인 4화음(7th 코드, 4개의 음)을 사용합니다. 4화음은 3화음에 7번째 음(7th)을 추가한 화음으로, 이를 7th 코드라고도 부릅니다. 이 기본 4화음 위에 텐션 노트(Tension note)인 9음, 11음, 13음을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
7th 코드의 종류와 구성 (Seventh chord)
여러 가지 7th 코드의 종류가 있지만, 여기서는 텐션 노트를 제외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코드를 다룹니다. 도수(숫자 표시는) 장화음과 완전화음을 기준으로 하며, 따로 표시하지 않습니다(장3도→3, 완전5도→5). 장화음을 기준으로 ‘b’이 붙으면 단음 또는 감음정이 되고, ‘#’이 붙으면 증음이 됩니다.
코드의 종류 | 구성도수 | |||
Major 7th | 1 | 3 | 5 | 7 |
dominant 7th | 1 | 3 | 5 | b7 |
Minor 7th | 1 | b3 | 5 | b7 |
Half-Diminished 7th | 1 | b3 | b5 | b7 |
Diminished 7th | 1 | b3 | b5 | bb7 |
Augmented 7th | 1 | 3 | #5 | b7 |
Minor-Major 7th | 1 | b3 | 5 | 7 |
악보에서는 코드의 표시를 단순화해서 표시합니다. (R은 root,근음을 의미합니다.)
코드의 종류 | 악보에서의 표시 |
Major 7th | R△7, Rmaj7, RM7 |
dominant 7th | R7 |
Minor 7th | R-7, Rm7 |
Half-Diminished 7th | R-7(b5), Rm7(b5), Rm7(-5), Rø7 |
Diminished 7th | Ro7, Rdim7 |
Augmented 7th | Raug7, R7(#5), R7(+5), R+7 |
Minor-Major 7th | R-(△7), RmM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