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기타 솔로연습_스케일 연습 2 (IIm7-V7-IMaj7)

Maj7 5가지 폼을 이용해서 다이아 토닉 스케일을 연습하시는 것이 어느 정도 익숙해 지셨다면, 다음 단계로 코드 진행을 이용해서 스케일 연습을 연습해 보겠습니다. 곡에서 코드 진행은 다이아 토닉 코드의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곡에 나온 코드 진행을 가지고 연습해 보시면 좋습니다. 그전에 먼저 가장 많이 나오는 진행인 2-5-1 진행을 가지고 연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key 에서 2-5-1 진행은 Dm7-G7-Cmaj7 입니다(다이아 토닉 코드에 순서를 참고). 각 코드에 나온 스케일 이름은 Dm7 = 도리안, G7 = 믹소리디안, CMaj7 = 아이오니안 으로 Dm7 = 레미파솔라시도, G7 = 솔라시도레미파, Cmaj7 = 도레미파솔라시도 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다이아토닉 자체가 그 Key에 스케일을 가지고 이루어진 코드들이기 때문에, 각각 3가지 코드의 스케일은 순서만 다를뿐 구성은 같습니다.

순서는 다르지만 스케일 구성은 같다.

에서 중요한 점은 ‘스케일 구성이 같다’ 보다는 ‘순서는 다르다’ 에 있습니다. 똑같은 음을 공유하는 스케일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울수 있는 조건은 ‘순서는 다르다’ 이기 때문이지요. 단순히 C Maj Scale 을 ‘레’ 부터 시작 하게 되면 D도리안, G로 시작하면 G믹소리디안, C로 시작하면 C아이오니안 으로 생각할수 있는 이유는 마디에 강박에 그 스케일에 그 중요 음들이 놓이기 때문 입니다. 8비트에서 한마디에 8음은 강박과 약박, ‘약’ 으로 놓이게 됩니다. 기타로 치면 다운피킹 피킹 자리입니다. 아주 단순히 시작음에 따라 ‘강’에 놓이는 음들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작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강박자에 그 스케일에 색깔을 잘 나타낼수 있는 음들이 나와줘야 스케일이 가지고 있는 색깔을 확실 하게 나타낼수 있다는 것 입니다. 스케일 색깔을 잘 나타내 줄수 있는 음들은 각 다이아토닉 에서 각 스케일을 구성해 주는 코드에 코드 톤이 됩니다. D도리안은 Dm7코드톤, G믹솔리디안은 G7, C아이오니안 CMaj7코드톤이 그것 입니다. 물론 코드톤 이외의 음들 또한 그 스케일을 확실하게 나타내주는 음이 될수 있지만 연습의 시작은 코드톤으로 시작 하겠습니다.



연습에 예로 CMaj7 코드 폼의 한가지를 가지고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CMaj7 코드폼을 한가지 골라서(위에 이미지는 제가 임의로 골라 봤습니다) 그 안에서 나올수 있는 IIm7-V7-IMaj7 코드 잡아 봅니다. 그 안에 나오는 IIm7-V7-IMaj7 은 이미지 두번째 줄에 있는 Dm7-G7-CMaj7 입니다. 이제는 그전에 스케일 연습을 하듯이 코드를 한번 치고 이미지 3번째 줄에 있는 스케일을 연주합니다.

이미지 3번째 줄을 보시다시피 3가지 스케일은 코드 구성은 다르지만 모두 같은 음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폼이 나옵니다. 구성음이 같기 때문에 각각 스케일에 색깔을 주려면 시작음을 그 스케일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음을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을 드렸듯이 가장 대표적은 음들은 스케일이 나오는 코드의 구성음 입니다. ​

Dm7은 레파라도, G7은 솔시레파, CMaj7은 도미솔시 입니다. 각각 코드에 코드 구성음(이하 코드톤) 을 처음 음으로 스케일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Dm7은 레미파솔라.. , 파솔라시도.. , 라시도레미.. , 도레미파솔.. G7은 솔라시도레.. , 시도레미파.. , 레미파솔라.. 같이 코드의 구성음을 가지고 스케일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단순하게 할수 있는 첫번째 연습입니다. ​

이런 식으로의 연습이 손에 붙으시면 초반에 설명드린 강박과 약박을 생각 하셔서 강박에는 스케일구성 코드에 코드톤이 오도록 스케일을 연습하도록 합니다.

막약 D도리안(Dm7)을 연습하신다면 ‘레미파솔라시도레’, ‘파솔라시도레미파’ 같이 코드톤을 시작으로(방금 설명드린 레,파 같이) 레파라도 를 시작으로 연습하시면 됩니다. G7,CMaj7 도 같은 방법으로 연습니다. ​ 이런식으로 연습하신것을 Dm7-G7-CMaj7 (Ckye ; IIm7-V7-IMaj7) 으로 연결지여서 연습하시면 됩니다.



위에 예시처럼 스케일 순서대로 쭈욱 치시다보면 중간에 코드톤이 아닌 음이 오게 되는데 일딴 처음에 연습하실때는 강박에 코드톤을 넣기 위에서 중간에 음을 하나 건너 뛰어서 라도 코드톤을 맞춰 주면서 연습하시면 됩니다(정말 말씀드린 것에 입각해서 단순히 나열한 음들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수정하면서 하셔도 됩니다).

마디가 바뀔때마다 올라가는 느낌 내려오는 느낌으로 연습해 보시고, 한마디 하시고(ex; Dm7) 다음마디에 시작음(ex; G7)은 전에 마디(ex; Dm7) 마지막음에서 가까운 다음 마디에 코드톤으로 이여서 연습하시면 됩니다. 이 연습이 어느정도 편해 지셨다면 8비트에서 16비트로(한마디에 16음으로) 연습해 보시고(이때는 강약이 ‘약’) 어느 정도 연습이 되어서 편해 지셨다면 이런 강박에 코드톤을 놔야 한다는 생각을 조금은 접고 편안하게 연주하듯이 연습해 보시면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