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정은 두 음 사이의 거리를 이야기합니다. 표기할 때는 음과 음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보고 도수(숫자)를 세고, 도수 간격에 따른 성질을 표기합니다(예: 장3도, 단3도 등).
12 음의 표기는 이탈리어와 영어로 표기합니다.
이탈리아식 | 도 | 레 | 미 | 파 | 솔 | 라 | 시 |
영문 | C | D | E | F | G | A | B |
도수

두 음의 간격으로 도수를 셉니다. 도를 기준으로 자기 자신(도)은 1도, 도를 기준으로 레는 2도, 미는 3도, 파는 4도, … 도에서 도는 8도입니다.
2도, 4도, 6도에 대해서 텐션을 표기할 때는 한 옥타브 위로 표기합니다. 도를 기준으로 레(2도)는 9도로, 옥타브 위의 파(4도)는 11도, 한 옥타브 위의 라(6도)는 13도로 따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1 | 2 | 3 | 4 | 5 | 6 | 7 | |
옥타브위 | 9 | 11 | 13 |
음의 성질
음사이의 도수(간격)가 정해졌을 때, 음과 음사이의 간격을 기반으로 음의 성질을 ‘장’,‘단’,‘감’,‘완전’,‘증’,‘겹증’ 등으로 표기가 가능합니다. 겹감과 겹증은 이론상으로 표기하고 재즈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하지 않기에 표시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2도, 3도, 6도, 7도는 장과 단으로 표기하고, 1도, 4도, 5도, 8도는 완전으로 표기합니다.

표기방법
표기방법 | 예 | |
장(Major) | 표기를 따로 하지 않습니다. | 장3도 → 3 |
단(minor) | b을 붙여서 표기 | 단3도 → b3 |
감(diminished) | 단에선 bb, 완전에선 b | 감7도 → bb7,감5도 → b5 |
겹감(Doubly diminished) | 이론상으로만 표기합니다. | |
완전(Perfect) | 표기 하지 않거나 P를 사용 | 완전5도 → 5 → P5 |
증(Augmented) | #으로 표기합니다. | 증5도 → #5 |
겹증(Doubly Augmented) | 이론상으로만 표기합니다. |